중도금대출 조건 및 신청방법 | 분양권·아파트 금리비교·후기·자주 묻는 질문 총정리 2025
2025년 최신 중도금대출 조건과 신청 절차, 은행별 금리, 실제 이용 후기, FAQ까지 종합 정리했습니다.
무주택·다주택 여부, 분양가 대비 한도, LTV·DSR 규제까지 한눈에 확인하고 우대금리 받는 꿀팁을 챙기세요.
모바일·영업점 신청 차이, 중도상환수수료, 대환대출 전환 시기 등 필수 정보를 담았으니 실행 전 반드시 참고하세요.
중도금대출은 분양 아파트 공사 진행 단계별로 납부해야 하는 중도금을 은행이 선납해 주고, 준공 후 잔금대출 또는 대환대출로 전환하는 구조입니다. 개인의 신용점수와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에 따라 한도가 달라지며, 시공사 연계 협약은행을 이용하면 보증료·우대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도금대출 신청 절차 체크리스트
- 1️⃣ 분양계약서·청약통장·주민등록등본 준비
- 2️⃣ 시공사 협약은행 또는 시중은행 비교
- 3️⃣ 주택도시보증공사(HUG)·SGI 보증가입 여부 확인
- 4️⃣ 모바일 사전심사 → 영업점 본심사
- 5️⃣ 결과 통보 후 약정서 서명·실행
2025년 5월 기준 은행별 평균 금리
은행 | 고정금리(연%) | 변동금리(연%) | 최대 한도 |
---|---|---|---|
KB국민은행 | 4.10 ~ 4.60 | 3.60 ~ 4.40 | 분양가의 60% |
신한은행 | 4.00 ~ 4.50 | 3.50 ~ 4.30 | 최대 3.5억 원 |
우리은행 | 4.15 ~ 4.65 | 3.65 ~ 4.45 | 담보가치의 60% |
하나은행 | 4.20 ~ 4.70 | 3.70 ~ 4.50 | 최대 4억 원 |
실제 이용자 후기에 따르면 협약은행 이용 시 평균 0.2%p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었으며, 모바일 사전심사는 1일, 본심사부터 실행까지 평균 3일 소요됐습니다. 공사 지연 시 이자만 납부가 가능하고, 준공 후 잔금대출로 갈아탈 때 중도상환수수료가 면제되는 상품도 있으니 반드시 확인하세요.
중도금대출은 공정률 60% 이후 이자부담이 급증할 수 있습니다. 자금 계획과 금리 상승 리스크를 점검한 뒤 실행하세요.